개발/Today I Learned

    멋사 D+1 HTML/CSS

    HTML vscode에서 !치면 자동완성되어 편하게 쓰던 이 코드 틀(?)의 의미를 알게되었다. 형식은 문서타입 태그안에 html태그가 있고 그 안에는 각 각 head와 body태그가 있고 html 태그로 닫아준다. html태그에는 언어를 써준다. (스크린 리더에서 콘텐츠를 읽을 때 lang속성을 통해 정보를 받는다) body에는 화면에 보여지는 코드를 작성, 이외의 콘텐츠 보조 코드는 head에 넣어준다. 사용자가 가장 많이 읽는 콘텐츠는 단락(Paragraph)이다. 사용자가 가장 많이 읽는 콘텐츠는 단락(Paragraph)입니다. 제목의 단계 사용자가 가장 먼저 읽는 콘텐츠는 제목(Headings Level 1-6)이다. 제목 1 제목 2 제목 3 제목 4 제목 5 제목 6 Margin, Paddi..

    [eslint] Plugin "react" was conflicted between "package.json » eslint-config-react-app

    [eslint] Plugin "react" was conflicted between "package.json » eslint-config-react-app » C:\Users\사용자이름\desktop\프로젝트폴더이름\node_modules\eslint-config-react-app\base.js" and "BaseConfig » C:\Users\사용자이름\Desktop\프로젝트폴더이름\node_modules\react-scripts\node_modules\eslint-config-react-app\base.js". 이 에러때문에 거의 두시간을 고생했는데 구글링으로 해결방법을 알아냈다.. Solution 1: Check the DIRECTORY name Make sure the directory name ..

    [ React Error ] Failed to load config "react-app" to extend from.

    잘 되던 프로젝트에서 yarn start 했더니 갑자기 에러 발생 npm install eslint-config-react-app or yarn add eslint-config-react-app 위의 코드를 터미널에서 실행해주었더니 해결되었다..!!

    [TIL] React Hooks :: useState의 기본형과 함수형

    [TIL] React Hooks :: useState의 기본형과 함수형

    useState의 기본 형태 const [state, setState] = useState(initialState); 함수형 업데이트 // 기존에 사용하던 방식 setState(number + 1); // 함수형 업데이트 setState(() => {}); 위 코드와 같이 setState의 ( ) 안에 수정할 값이 아니라, 함수를 넣을 수 있다. 그리고 그 함수의 인자에서는 현재의 state을 가져올 수 있고, { } 안에서는 이 값을 변경하는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 현재 number의 값을 가져와서 그 값에 +1을 더하여 반환한 것 setState((currentNumber)=>{ return currentNumber + 1 }); 두 방식의 차이점 일반 업데이트 방식으로 onClick안에서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