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owButSteady
새로운 시작
SlowButSteady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 개발
      • 멋쟁이사자처럼 프론트엔드 스쿨 4기
      • Today I Learned
      • Weekly I Learned
      • 간단 TIL
      • Etc
      • 이노베이션 캠프 회고록
    • AUS
    • 주절주절

블로그 메뉴

  • 홈
  • 개발
  • 태그
  • 미디어로그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SlowButSteady

새로운 시작

웹 접근성 (Web Accessibility)
개발/Today I Learned

웹 접근성 (Web Accessibility)

2023. 6. 22. 12:52
728x90

웹접근성이란?

웹 접근성이란, 어떠한 사용자(장애인, 노인 등), 어떤 기술환경에서도 전문적인 능력 없이도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에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을 말합니다.
접근성이란 장애인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이 정보통신기기나 서비스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즉, 다시 말해 모든 사람들이(노인, 장애인 구분 없이) 어떤 조건, 어떤 환경에서라도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에 접근할 수 있고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을 말합니다.

웹 접근성의 필요성

웹이 처음 개발 될 당시에는 그래픽의 사용이 많지 않았기 때문에 장애인의 접근성이 크게 문제 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그래픽과 플래시 등 동영상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어 오히려 상황이 더 나빠져 장애인들의 인터넷 이용은 점점 힘들게 되었습니다.

시각 장애 사용자나, 청각 장애 사용자, 지체 장애 사용자, 노인들은 웹을 사용함에 있어 스크린을 못 볼 수 있고, 웹에서 제공하는 소리를 못 들을 수 있고, 마우스 사용이 용이하지 못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 소외 계층의 사용자도 웹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웹 접근성이 필요한 이유 중에 하나입니다.

시각 장애인 사용자들은 주로 스크린 리더라는 보조 기기를 사용해 웹을 소리로 인지하여 접근합니다. 이것이 가능하게 위해서는 이미지라든지 모든 그래픽적인 요소들을 대체할 수 있는 텍스트를 제공하여 스크린 리더가 읽어 줄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만들어야 합니다. 청각 장애인 사용자들에게 소리로만 정보를 전달하는 서비스가 있다면 청각 장애인은 정보를 이용할 수 없겠지요. 이것은 자막과 같은 텍스트를 제공하여 접근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TV에서도 자막을 사용하는 것을 보셨을 것입니다. 이것 또한 청각 장애인의 접근성을 위함입니다.

또, 손이 불편하시거나 노환 등으로 잘 안 보이시는 분들은 여러 개가 붙어있는 작은 버튼은 클릭하기 힘드실것입니다. 이러한 분들에게는 글자나 화면의 확대 축소 기능을 제공 함으로서 접근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그로 인해 장애인들의 사회 참여가 확대되고 정보격차가 혁신적으로 해소될 것입니다. 이처럼 인터넷 정보 격차 해소를 위해 웹 서비스가 비장애인 뿐 아니라 모든 사용자를 고려하여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것입니다.

아울러, 장애인과 비장애인 등 모든 사람들이 다양한 Device, Platform, Vendor를 모두 아우르는 것이 바로 접근성이 추구 하는 목표입니다.

즉, 웹 접근성을 말할 때 ‘장애인을 위한’이라는 표현보다는 ‘모두를 위한’ 표현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소외계층의 인터넷 정보 접근시 문제점과 해결방안 예시

 
구분문제점해결방안
 
노인 시력약화 글자크기 등이 작아 접근 어려움 글자, 화면의 확대 축소기능 제공
시각장애인 이미지 등 시각정보에 대한 설명부재 이미지 정보에 대한 대체 텍스트 제공
청각장애인 동영상등의 음성청취가 어려움 동영상에 캡션이나 자막 제공
지체장애인 마우스위주의 접근 키보드만으로 접근이 어려움 키보드만으로도 접근 가능토록 제공

 

더보기

출처: https://www.epostlife.go.kr/IPUIWI0000.do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개발 > 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git 으로 git 에 있는 프로젝트 가져오기 (degit: command not found 해결)  (0) 2023.02.13
[Github] fork 해온 repository 잔디 심는 방법  (0) 2023.01.30
주석 작성에 도움을 주는 VSCode 확장들  (0) 2022.12.27
Error: listen EACCES: permission denied 0.0.0.0:8080  (0) 2022.12.27
Sass 개발환경 구성  (0) 2022.12.21
    '개발/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 degit 으로 git 에 있는 프로젝트 가져오기 (degit: command not found 해결)
    • [Github] fork 해온 repository 잔디 심는 방법
    • 주석 작성에 도움을 주는 VSCode 확장들
    • Error: listen EACCES: permission denied 0.0.0.0:8080
    SlowButSteady
    SlowButSteady
    하루하루는 성실하게, 인생 전체는 되는대로

    티스토리툴바